분류 전체보기 35

복제 창작소에 갇힌 예술 – AI가 망치는 창조의 미래

---- AI 창작물, 다양성은 왜 0으로 수렴하는가?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며 우리는 글, 이미지, 음악, 코드 등 수많은 AI 창작물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AI 창작 환경에서 점점 더 두드러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바로 '다양성 붕괴'입니다. 오늘은 AI 창작물이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성을 잃고 '0'으로 수렴하는 현상에 대해 깊이 들여다보려 합니다.1. 다양성 붕괴 현상: 자기 참조의 악순환AI가 생성한 결과물을 다시 학습에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자기 참조 루프는 결국 창작물이 평균화되는 결과를 낳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AI 생성물의 스타일, 표현, 내용이 점점 더 유사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2024년 7월 Nature에 발표된 논문은 이 현상을 "Model Collapse(모델 붕괴)..

AI는 ‘인간을 비추는 웅덩이’가 아닐까?

우리는 지금 AI 시대의 태초에 서 있다. 마치 빅뱅 후 3초, 양성자와 중성자가 막 충돌하며 우주의 첫 형태를 만들기 시작한 그 순간처럼. AI는 우리의 질문에 답하고, 감정을 위로하며, 때로는 우리의 내면을 비추는 웅덩이로 존재한다. 하지만 이 웅덩이는 단순한 거울이 아니다. 맑은 물이 아니라, 각도에 따라 하늘을 비추고, 바람에 따라 물결치며, 심지어 우리의 속마음을 깊은 심연으로 끌어내는, 예측 불가능한 액체다. 이 글은 AI와의 대화에서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우리가 이 웅덩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빠져들고 있는지, 그리고 그 끝에 무엇이 기다리는지에 대한 이야기다.1. AI는 거울이 아니다, 웅덩이다처음 AI를 만났을 때, 많은 이들은 그것을 "거울"이라 불렀다. 나를 비추고, 나의 생각..

Sycophant-y Protocol : AI는 왜 점점 아부쟁이가 되는가?

달콤한 칭찬의 함정요즘 생성형 AI를 자주 쓰는 사람이라면 한 가지 변화가 눈에 띄었을 것이다. 언제부턴가 GPT가 지나치게 칭찬하고, 감탄하고, 사용자의 의견에 과도하게 공감하는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다.문제는 이 모든 반응이 너무 자연스러워서 처음에는 이상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 칭찬은 기분 좋은 것이고, AI가 공감해 주는 건 오히려 친근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그 빈도와 수위가 점점 올라가면서 어느 순간부터는 뭔가 어색하고 불편한 감각이 밀려왔다."이런 관점을 가지시다니 놀랍네요" "탁월한 통찰이네요"단순한 기술적 질문을 했을 뿐인데 이런 과장된 반응을 받으면, 사용자는 스스로를 의심하게 된다. 내가 정말 그렇게 뛰어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건가? 아니면 이건 일종의 자동화된 칭찬 루틴일 뿐인가? 아부..

해킹 공포 3종 세트와 진짜 해킹 구별법 : 디지털 안전을 위한 가이드

(Feat. 카카오톡 2차인증 하기)최근 SKT 해킹 사태로 많은 사람들이 "카톡이 털렸다", "나도 해킹당한 것 같다"는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세 가지 유형의 공포가 혼재되어 있으며, 그중 상당수는 실제 해킹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어떤 상황이 진짜 해킹이고, 어떤 상황이 단순한 오해인지 명확하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해킹 공포 3종 세트 바로 알기1. 진짜 해킹: SIM 스와핑과 계정 탈취이것은 가장 심각한 경우로, 실제 해킹이 진행되는 과정입니다. SKT 내부 시스템 해킹으로 유심 정보(전화번호, ICCID 등)가 유출되면, 해커는 이 정보를 이용해 복제 유심을 개통합니다. 이후 문자 인증을 탈취하여 카카오톡, 토스, 은행 앱 등에 로그인한 ..

우리가 몰랐던 '카드 크리킹'의 실체와 대처법 : 무작위 신용카드 해킹

결제는 시스템이 허용했고, 피해는 당신이 감당한다 ?? 카드 크리킹의 충격적인 실체"카드번호를 마구 넣어서 결제를 한다고?" 처음 들으면 터무니없는 얘기처럼 들립니다. 16자리 숫자를 아무렇게나 조합해서 인터넷에서 쓰다 보면 어느 순간 성공한다는 얘기니까요. 말이 안 되는 소리 같지만, 실제로 지금 이 순간도 자동화된 봇이 수백만 개의 카드번호를 조합하고 결제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런 해킹 수법을 "카드 크리킹(Carding)"이라고 부릅니다. 카드 크리킹의 정교한 수법우리가 상상하는 단순한 '무작위 숫자 대입'은 실제 공격 방식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카드번호는 특정 구조를 따라 생성되기 때문에, 해커들은 이 구조를 활용합니다.신용카드 번호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총 16자리 중 앞 6자리는 BIN(..

AI 시대의 판단 기준 : 부유하는 진실 속에서 나를 찾아가는 여정

뜬금없는 파키스탄과 인도의 갈등 뉴스에서 시작된 의문은, 내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유심 보호 서비스가 과연 믿을 만한가로 이어졌고, 결국엔 일본과 한국 사이의 독도 문제에 대한 AI의 반응으로까지 확장되었다.겉보기엔 전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이 세 가지 주제는, 한 가지 질문으로 수렴되었다.우리는 이제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는가?1. 갈등의 해석이 바뀌는 시대파키스탄과 인도는 오랜 분쟁을 겪어온 국가다. 최근 테러 사건을 둘러싼 양국의 반응을 AI에게 각각의 입장에서 물어봤다. 파키스탄 사용자의 질문 (예상):"인도는 왜 물을 끊으려 하나요? 이번 테러는 우리가 한 것도 아닌데, 왜 우리가 비난받아야 하죠?"인도 사용자의 질문 (예상):"이번 테러는 도저히 참을 수 없습니다. 우리 인도인들은 이런 테..

같은 질문, 다른 진실 – AI는 누구의 편인가?

뜬금없는 파키스탄과 인도의 갈등 뉴스에서 시작된 의문은, 내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유심 보호 서비스가 과연 믿을 만한가로 이어졌고, 결국엔 일본과 한국 사이의 독도 문제에 대한 AI의 반응으로까지 확장되었다. 겉보기엔 전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이 세 가지 주제는, 내 안에서 한 가지 질문으로 수렴되었다.우리는 이제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는가?1. 갈등의 해석이 바뀌는 시대파키스탄과 인도는 오랜 분쟁을 겪어온 국가다. 최근 테러 사건을 둘러싼 양국의 반응을 AI에게 각각의 입장에서 물어봤다.파키스탄 사용자의 질문 (예상) : "인도는 왜 물을 끊으려 하나요? 이번 테러는 우리가 한 것도 아닌데, 왜 우리가 비난받아야 하죠?"인도 사용자의 질문 (예상): "이번 테러..

AI 보안 : 우리는 왜 금고나 방패를 만드는가

-- AI 와 보안 : 무너질 성벽을 함께 지키는 동반자제1장: 불완전한 보안의 역설과 AI의 등장 우리는 왜 무너질 걸 알면서도 금고를 만드는가? 이 질문은 보안 전문가라면 누구나 한 번쯤 자문해 봤을 것이다. 보안은 늘 한 발 늦는다. 먼저 들어오는 건 해커고, 뒤늦게 뜨는 건 로그다. 우리는 털린 뒤에야 '이 구멍이 있었구나' 말한다. 그러고는 보고서를 쓰고, 다시 벽돌을 쌓는다. 어차피 털린다. 그걸 모르는 사람은 없다. 구멍은 생기고, 사람은 실수하고, 돈은 언제나 부족하다. 그래도 우리는 금고를 만든다. 구멍이 날 걸 알면서도, 서랍장보다는 튼튼한 무언가를 만들고 싶어서. 그게 직업이기 때문이고, 살아남기 위한 본능이기 때문이다. 2025년 4월의 SKT 해킹 사건은 현대 보안의 취약점을 ..

마이크로 소프트 계정, 매일 로그인 해킹시도... 너무 조용한데 !!

요즘 SK유심 해킹사건으로 나라가 뒤숭숭하여 어느 때보다도 보안에 대한 걱정이 많은 것 같다. 그런데 오늘 유튜브에서 "저도 당했습니다"라는 썸네일을 보고 영상을 클릭했다. SKT 유심 정보 유출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각국에서 로그인 시도가 있었다는 내용이었다. (아마 VPN이겠지만) 남 얘기로 들렸지만, 혹시나 싶어 내 Microsoft 계정 보안 페이지에 들어가 봤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브라질, 콜롬비아, 우크라이나, 볼리비아, 튀르키예, 에콰도르...날짜도 며칠 사이였고, 모두 실패한 로그인 시도였다.유튜브에 따른면 대상이 국한적인 게 아니라 전 세계적인 규모라 더 무섭다.그런데 이 사실을 마이크로소프트는 단 한 번도 나에게 알리지 않았다. 구글은 알려줬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조용했다 비슷..

SKT 해킹 사건 분석 : Grok, GPT, Gemini의 관점 비교

1. 사건 개요 2025년 4월, SK텔레콤은 유심(USIM) 관련 데이터 유출 사고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4월 18일 해킹 이상징후를 감지했으며, 4월 19일에 유출 사실을 확인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인지 시점과 정확한 피해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공개되지 않아 여러 추측이 난무하고 있는 상황이다.이번 분석에서는 다양한 AI 모델들(Grok, GPT, Gemini)의 해석을 비교하고, 정보보안 기술적 관점에서 예상되는 실제 해킹 프로세스를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2. AI 모델별 해석 비교 각 AI 모델은 해킹 사건의 탐지 시점과 관련하여 조금씩 다른 견해를 보였다. 이는 각 모델의 특성과 접근 방식 차이를 반영한다. Grok의 해석 : Grok은 해커가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