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안랩 ASEC이 포착한 사례에 따르면, 한글 문서(HWP)를 악용한 고도화된 사이버 공격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이제는 단순한 이메일 스팸이나 EXE 첨부가 아닌, 클릭만 유도하는 문서 파일 하나로도 정보 유출이 가능해졌습니다.이번 사례는 특히 RokRAT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새로운 공격 벡터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그 정교함과 위험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공격의 전체적인 구조와 감염 경로이번에 발견된 공격은 한글 문서 안에 실행파일을 OLE 개체로 삽입하고, 사용자가 그것을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사회공학 기반의 전략입니다. 안랩에서 확인한 실제 사례를 통해 감염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사용자는 이메일이나 메신저를 통해 "250615_양곡판매소 운영 현황.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