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3

푸틴의 전략적 U턴 : 트럼프-젤렌스키 화해와 핀란드 국경 긴장의 지정학

예상치 못한 전략적 재조정최근 러시아가 핀란드 국경 지역에서 보이는 군사적 움직임은 국제정치 관찰자들에게 새로운 의문을 던지고 있다. 러시아는 핀란드 국경에서 약 57km 떨어진 카렐리야 지역에 130여 개의 군용 텐트와 최대 2,000명이 주둔할 수 있는 군사시설을 급속도로 확장하고 있다. 또한 핀란드에서 약 145km 떨어진 올레냐 기지에서는 전략폭격기가 운용 중이라는 정보도 포착되었다. 지정학적 맥락에서 살펴보면, 이는 상당히 이례적인 전략적 재조정이다. 우리는 그동안 푸틴의 '다음 목표'로 몰도바나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을 예상해 왔다. 이들 국가는 러시아의 '근외(near abroad)' 전략과 '러시아 세계(Русский мир, Russian World)' 개념에 더 ..

중국 밀덕의 세계와 AI의 자기검열 : 딥시크(DeepSeek)와의 대화

중국에도 밀덕은 있다?나는 평범한 한국의 자칭 은둔 밀덕이다. 밀덕까지는 아니고 군사 장비와 전략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 종종 이런 생각을 한다."중국에도 밀덕이 있을까? 거긴 통제적 세상이니 밀덕이 생기는 환경이 주어질까?"하지만 물론 있다. 그리고 그들은 놀랍도록 열정적이다. 중국의 밀리터리 마니아들은 웨이보와 즈후 같은 소셜미디어에서 스텔스기 조립 공정을 분석하고, 항모 카타펄트 실측 사진을 공유하며, 심지어 위성 지도를 기반으로 군사 훈련장 위치를 추정하는 글까지 올린다. 이건 거의 비공식 첩보 활동에 가깝다. 그래서 나는 궁금했다. 중국 AI도 중국 밀덕 문화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더 나아가, AI는 밀덕 감성을 이해할 수 있을까?이런 호기심에 중국의 대형 AI 모델인 딥시크(DeepS..

Sora의 프리셋은 단순 스타일이 아니다 – 창작의 시선을 바꾸는 버튼

이미지와 영상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기술과 철학을 바라보며, 나는 종종 생각한다. 우리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단순한 시각적 구성물인가, 아니면 세계를 바라보는 우리만의 렌즈인가?OpenAI의 Sora를 접했을 때, 그리고 프리셋이라는 옵션을 써보면서 엉뚱한 생각이 꼬리를 물었다. 프리셋, 그저 필터의 영역을 넘어서처음 Sora의 프리셋을 마주했을 때,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단순한 스타일 필터로 인식했다. 인스타그램의 필터를 선택하듯, 완성된 결과물에 덧입히는 시각적 장치 정도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같은 프롬프트에 프리셋만 변경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물의 근본적 차이는 나의 인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프리셋은 단순히 시각적 효과를 덧입히는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AI가 주어진 텍스트를 어떻게 해석..